日程 | 發表 및 內容 | 備考 |
1부 10:00 ~ 12:30 | 中國 語文學 分科 | 中國語學分科 (정하상(J)관 118호) -주제 “人工知能時代를 위한 中國語學의 새로운 硏究方法論” ∙ 발표 1 발표자: 王彤伟, 赵渭荣(四川大学) 제목: 关于“粳"字的读音问题 토론자: 신세리(한국외대) ∙ 발표 2 발표자: Lee-Kim, Sang-Im(臺灣交通大學) 제목: Contrastive context effects of tone modulated by second language experience: the case of Korean L2 learners of Mandarin Chinese 토론자: 이선희(사이버한국외대) ∙ 발표 3 발표자: 이금희(인덕대) 제목: 4次 産業革命 時代의 中國語敎育의 方向 探索 토론자: 손정애(방송통신대) ∙ 발표 4 발표자: 左思民(고려대) 제목: 论和词义有关的语用操作(On the Pragmatic Operation Related to Word Meaning) 토론자: 김종호(한국외대) | 사회 류동춘(서강대) |
中國文學分科 (정하상(J)관 307호) -주제 “4次 産業革命 時代 미디어 變化와 文學의 擴張” ∙ 발표 5 발표자: 홍윤희 (연세대) 제목: 21世紀 中國神話學의 現在志向性: '神話적인 것'과 '神話의 活用' 사이에서 토론자: 유강하(강원대) ∙ 발표 6 발표자: 김지영(성결대) 제목: 人工知能을 活用한 中國詩 硏究와 敎學 考察 토론자: 오태석(동국대) ∙ 발표 7 발표자: 이은상 (세종대왕기념사업회) 제목: 이미지 제국: 18世紀 多民族國家 淸 中國의 視覺政治學 토론자: 민정기(인하대) | 사회 조관희(상명대) |
中國 史學 分科 | - 주제 : “歷史의 轉換과 歷史學의 變化” (정하상(J)관 309호) ∙ 발표 8 발표자: 周東怡(國立臺灣師範大學) 제목: “臺灣의 中國史 硏究 관련 데이터베이스 紹介” 토론자: 김바로(중앙대) ∙ 발표 9 발표자: 金野純(學習院女子大學) 제목: “文革时期的结构性矛盾与派别主义 —以工人内部的结构分化为中心” 토론자: 서석하(한양대) | 사회 김승욱(충북대) |
中國 哲學 分科 | - 주제 : “4次 産業革命 時代를 準備하는 中國哲學의 現在와 未來” (정하상(J)관 311호) ∙ 발표 10 발표자: 유동환(건국대) 제목: “디지털시각화 기반 中國學 硏究方法論 摸索” 토론자: 윤지원(단국대) ∙ 발표 11 발표자: 박승현 교수(희망철학연구소) 제목: “第4次 産業革命時代의 人間의 地位” 토론자: 이해임(한림대) ∙ 발표 12 발표자: 송인재(한림대) 제목: “中國哲學 硏究에서 디지털 人文學의 役割-현상, 담론, 사례” 토론자: 방현주(성균관대) ∙ 발표 13 발표자: 황갑연(전북대) 제목: “儒家哲學에서 人工知能 로봇은 道德實踐 考慮對象에 包含될 수 있는가?” 토론자: 김도일(성균관대) | 사회 이장희(경인교대) |
2부 13:30 ~15:00 | 開會式 및 基調演說 | (정하상(J)관 118호) 開會辭: 韓國中國學會 鄭相峯 會長 歡迎辭: 西江大學校 總長 祝 辭: 駐韓臺北代表部 大使 ∙ 발표 14 基調講演: 項潔(國立臺灣大學) 제목: “디지털 人文學의 觀點에서 본 類書(數位人文視野下的類書)” | 사회 강진석(한국외대) |
3부 15:00 ~ 18:00 | 中國 語文學 分科 | 中國語學分科 (정하상(J)관 118호) -주제 “人工知能 時代를 위한 中國語學의 새로운 硏究方法論” ∙ 발표 15 발표자: 陳浩然(臺灣師範大學) 제목: 探討各種語料庫對華語學習的貢獻 토론자: 송지현(안양대) ∙ 발표 16 발표자: 박민준(연세대) 제목: 器械學習 技法을 活用한 비교 의미역 자동 추출 토론자: 정인정(육군사관학교) ∙ 발표 17 발표자: 한서영(한밭대) 제목: 器械學習에 基盤한 中國語 차용어 音韻論 硏究 토론자: 김태은(연세대) ∙ 발표 18 발표자: 강병규(서강대), 이지은(부산대) 제목: 신경망 機械飜譯의 作動 原理와 飜譯의 正確率 –中韓 飜譯을 實例로 토론자: 유수경(영남대) | 사회 전기정(선문대) |
中國文學分科 (정하상(J)관 307호) -주제 “4次 産業革命 時代 미디어 變化와 文學의 擴張” ∙ 발표 19 발표자: 박정원(한국외대) 제목: 4次 産業革命 時代 中國學 데이터 아카이빙 戰略 토론자: 김태연(서울시립대) ∙ 발표 20 발표자: 汪俊彦(臺灣師範大學) 제목: “沉浸表演與臺灣身份:新世代劇場觀演與生命政治” 토론자: 장희재(한양대학교) ∙ 발표 21 발표자: 최재용(명지대) 제목: 스마트폰 時代 인터넷 文學의 變化 토론자: 김혜주(이화여자대학교) ∙ 발표 22 발표자: 고윤실(숙명여대) 제목: 中國 드라마 生産 메커니즘과 주선률 드라마 토론자: 서유진(연세대) | 사회 홍석표(이화여대) |
中國 史學 分科 | (정하상(J)관 309호) - 주제 : “歷史의 轉換과 歷史學의 變化” ∙ 발표 23 발표자: 김용찬(서울대) 제목: “秦·漢 時期 國家祭祀의 制度的 管理” 토론자: 김용천(대진대) ∙ 발표 24 발표자: 김판수(인천대) 제목: “中國共産黨 中央과 마오쩌둥 派閥 間의 權力 鬪爭: 1930년대 富田事变과 숙반운동을 중심으로” 토론자: 이원준(인천대) ∙ 발표 25 발표자: 김택경(동국대) 제목: “북양정부시기 北京 警察의 人員 膨脹과 그 意味” 토론자: 윤형진(고려대) | 사회 박경석(연세대) |
中國 哲學 分科 | (정하상(J)관 311호) - 주제 : “4次 産業革命 時代를 準備하는 中國哲學의 現在와 未來” ∙ 발표 26 발표자: 김태용 교수(한양대) 제목: “墨子의 技術認識과 교상리” 토론자: 이진용 (연세대) ∙ 발표 27 발표자: 林久絡교수(東海大學) 제목: “第四次工業革命下的中國哲學生態觀察” 토론자: 안재호 (중앙대) ∙ 발표 28 발표자: 伍至學 교수(華梵大學) 제목: “論莊子〈養生主〉文本結構分析” 토론자: 박영우 (중앙대) ∙ 발표 29 발표자: 杜保瑞교수(上海交通大學) 제목: “儒家是中國哲學學派的最多公約數” 논평자: 김혜수 (부산대) ∙ 발표 30 발표자: 盧鳴東(香港浸會大學) 제목:“革命、尊王、愛國-陳柱《公羊家哲學》的現代啟示” 토론자: 정종모 (서강대) | 사회 이연승(서울대) |
4부 18:00 | 閉會式 및 定期總會 | (정하상(J)관 118호) 폐회사 : 田寅甲 수석부회장 정기 총회 저녁 만찬 | 사회 이원준(인천대) |